본문 바로가기
이슈

뇌를 관통하는 총알(탄알)의 통증은 얼마나 느껴질까?

by 올오브더월드 2023. 12. 17.

영화나 드라마에서 보면 스스로 또는 타인에게 머리에 총을 맞고 쓰러지는 장면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. 이런 장면들을 볼 때마다 과연 총알(탄알)이 뇌를 관통하게 된다면 어떤 느낌이고 어떤 통증이 느껴질지 상상하게 되는데요. 과연 뇌를 관통하는 총알(탄알)의 통증은 얼마나 느껴지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 

총알(탄알)이 뇌를 관통하는 순간

아 눈앞에 장전된 총 한 자루가 있다고 상상해 보겠습니다. 이 단단하고 차가운 검정 총구를 당신의 관자놀이에 대면 어떤 느낌일까요? 관자놀이가 얼음처럼 몹시 차가워 천둥번개가 친다 해도 꼼짝달싹 할 수 없을 정도로 경직될 것입니다.

 

주위의 어떤 소리도 듣지 못할 정도로 귀는 먹먹할 것이고 온몸의 백억 개 이상의 신경 세포를 마비시켜서 뇌는 미동조차 할 수 없고 의식도 분명치 않을 것입니다.

 

뇌가 굳어버리니 신체의 어떤 명령도 내리지 못한 채 꼼짝도 하지 못하고 제자리에 주저앉아 완전히 얼어붙을 것입니다. 이 순간은 사실 불과 몇 초에 불과하지만 당신에게는 몇 세기가 흐른 것처럼 느껴집니다.

 

수천만 가지의 생각이 쏜살같이 지나가고 지나간 일들이 마음속에 솟아오릅니다. 그런데 과연 실제 탄알이 이마를 관통하는 통증은 우리의 생각만큼 고통스러울까요?

 

 

다섯 발의 총알(탄알)이 제일 큰 크기부터 작은 크기 순서로 위에서 부터 아래로 폭발하며 붉은 불꽃을 내며 나라가고 있다.

 

 

☞ 총알(탄알)이 뇌를 관통하는 속도

일반적으로 건총의 탄알 속도는 가장들이 속도라도 초속 300m 이상으로 나옵니다. 즉 속이 초속 330m이고, 이 속도를 마하 1이라고 하므로 권총의 가장 느린 속도라도 마하 1 정도라 할 수 있습니다.

 

일반 소총의 경우 탄알 속도는 마하 3 정도로 훨씬 더 빠릅니다. 이 엄청난 속도의 탄알이 머리를 관통하면 탄두의 특수 설계 때문에 무게중심이 치우쳐 빠르게 회전하고 뇌의 조직구조를 앞으로 밀어 뇌의 신경조직을 끊임없이 늘어나게 합니다.

 

그리고 한계의 다다르면 결국 조직이 찢어집니다. 게다가 탄알이 뇌 속을 통과하는 속도가 조직이 찢어지는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사람의 거대한 뉴런을 밀리초에서 마이크로초 만에 파괴할 수 있습니다.

 

결국 뇌에 뉴런이 통각 신호라는 마지막 비명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한 채 사람은 바로 목숨을 잃습니다.

 

 

나무 바닦 위에 권충 한 자루가 놓여져 있고 그 주위로 여러벌의 탄알이 굴러다니고 있다.

 

 

☞ 총알(탄알)이 뇌를 관통할 때 느낌

탄알이 전두엽피층을 통과하면 사람의 주의력, 사고력 및 정보처리 능력을 잃습니다.

 

탄알이 시상하부를 통할 때 의식이 흐려집니다. 탄알이 측두엽을 통할 때 사람의 감각 은 존재하지 않고, 탄알이 해마를 통과할 때 모든 기억은 0이 되고, 탄알이 뇌에서 빠져나오면 사람의 뇌 속은 텅텅 비게 됩니다.

 

그러므로 결론은 탄알이 머리를 통과할 때 고통은 제로에 수렴하므로 아예 없다고 보는 게 맞습니다.

 

 

 

댓글